computer science/algorithm

[프로그래머스] 개인정보 수집 유효기간 | Python3 LV.1

oogg 2023. 6. 3. 14:14
728x90

Programmers LV.1 개인정보 수집 유효기간 - Python3

문제 설명

고객의 약관 동의를 얻어서 수집된 1~n번으로 분류되는 개인정보 n개가 있습니다. 약관 종류는 여러 가지 있으며 각 약관마다 개인정보 보관 유효기간이 정해져 있습니다. 당신은 각 개인정보가 어떤 약관으로 수집됐는지 알고 있습니다. 수집된 개인정보는 유효기간 전까지만 보관 가능하며, 유효기간이 지났다면 반드시 파기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A라는 약관의 유효기간이 12 달이고, 2021년 1월 5일에 수집된 개인정보가 A약관으로 수집되었다면 해당 개인정보는 2022년 1월 4일까지 보관 가능하며 2022년 1월 5일부터 파기해야 할 개인정보입니다. 당신은 오늘 날짜로 파기해야 할 개인정보 번호들을 구하려 합니다. 

 

모든 달은 28일까지 있다고 가정합니다. 

 

다음은 오늘 날짜가 2022.05.19일 때의 예시입니다.

 

  • 첫 번째 개인정보는 A약관에 의해 2021년 11월 1일까지 보관 가능하며, 유효기간이 지났으므로 파기해야 할 개인정보입니다. 
  • 두 번째 개인정보는 B약관에 의해 2022년 6월 28일까지 보관 가능하며, 유효기간이 지나지 않았으므로 아직 보관 가능합니다. 
  • 세 번째 개인정보는 C약관에 의해 2022년 5월 18일까지 보관 가능하며, 유효기간이 지났으므로 파기해야 할 개인정보입니다. 
  • 네 번째 개인정보는 C약관에 의해 2022년 5월 19일까지 보관 가능하며, 유효기간이 지나지 않았으므로 아직 보관 가능합니다.

따라서 파기해야 할 개인정보 번호는 [1, 3]입니다. 오늘 날짜를 의미하는 문자열 today, 약관의 유효기간을 담은 1차원 문자열 배열 terms와 수집된 개인정보의 정보를 담은 1차원 문자열 배열 privaci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이때 파기해야 할 개인정보의 번호를 오름차순으로 1차원 정수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제한사항

  • today는 "YYYY.MM.DD" 형태로 오늘 날짜를 나타냅니다. 
  • 1 ≤ terms의 길이 ≤ 20 
    • terms의 원소는 "약관 종류 유효기간" 형태의 약관 종류와 유효기간을 공백 하나로 구분한 문자열입니다. 
    • 약관 종류는 A~Z중 알파벳 대문자 하나이며, terms 배열에서 약관 종류는 중복되지 않습니다. 
    • 유효기간은 개인정보를 보관할 수 있는 달 수를 나타내는 정수이며, 1 이상 100 이하입니다. 
  • 1 ≤ privacies의 길이 ≤ 100 
    • privacies[i]는 i+1번 개인정보의 수집 일자와 약관 종류를 나타냅니다. 
    • privacies의 원소는 "날짜 약관 종류" 형태의 날짜와 약관 종류를 공백 하나로 구분한 문자열입니다. 
    • 날짜는 "YYYY.MM.DD" 형태의 개인정보가 수집된 날짜를 나타내며, today 이전의 날짜만 주어집니다. 
    • privacies의 약관 종류는 항상 terms에 나타난 약관 종류만 주어집니다. 
  • today와 privacies에 등장하는 날짜의 YYYY는 연도, MM은 월, DD는 일을 나타내며 점(.) 하나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 2000 ≤ YYYY ≤ 2022 
    • 1 ≤ MM ≤ 12 MM이 한 자릿수인 경우 앞에 0이 붙습니다. 
    • 1 ≤ DD ≤ 28 DD가 한 자릿수인 경우 앞에 0이 붙습니다. 
  • 파기해야 할 개인정보가 하나 이상 존재하는 입력만 주어집니다.

 

입출력 예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문제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오늘 날짜는 2020년 1월 1일입니다. 

  • 첫 번째 개인정보는 D약관에 의해 2019년 5월 28일까지 보관 가능하며, 유효기간이 지났으므로 파기해야 할 개인정보입니다. 
  • 두 번째 개인정보는 Z약관에 의해 2020년 2월 14일까지 보관 가능하며, 유효기간이 지나지 않았으므로 아직 보관 가능합니다. 
  • 세 번째 개인정보는 D약관에 의해 2020년 1월 1일까지 보관 가능하며, 유효기간이 지나지 않았으므로 아직 보관 가능합니다. 
  • 네 번째 개인정보는 D약관에 의해 2019년 11월 28일까지 보관 가능하며, 유효기간이 지났으므로 파기해야 할 개인정보입니다. 
  • 다섯 번째 개인정보는 Z약관에 의해 2019년 3월 27일까지 보관 가능하며, 유효기간이 지났으므로 파기해야 할 개인정보입니다.

 

코드

def solution(today, terms, privacies):
    answer = []
    terms_dict = {t.split()[0] : t.split()[1] for t in terms}
    
    for n, i in enumerate(privacies): 
        ava_mon = int(terms_dict[i.split()[1]])
        date = i.split()[0].split('.')
        limit = [
            int(date[0]) + (int(date[1]) + ava_mon - 1) // 12, 
            (int(date[1]) + ava_mon) % 12 if not (int(date[1]) + ava_mon) % 12 == 0 else 12, 
            int(date[2])
        ]
        
        if limit[0] < int(today.split('.')[0]):
            answer.append(n + 1)
        elif limit[0] == int(today.split('.')[0]):
            if limit[1] < int(today.split('.')[1]):
                answer.append(n + 1)
            elif limit[1] == int(today.split('.')[1]):
                if limit[2] <= int(today.split('.')[2]):
                    answer.append(n + 1)
    
    return answer

 

풀이

1. 각 약관별 유효기간(달 수)을 쉽게 확인하기 위해 list -> dictionary 전환

2. 각 privacy별 limit 날짜를 계산한다

3. 해당 limit 날짜와 현재 날짜를 비교해 유효기간이 지났다면 answer 리스트에 append

 

list에서 dict 형을 만들고 싶을 때는 아래와 같이 for문을 이용하면 된다.

 

terms_dict = {t.split()[0] : t.split()[1] for t in terms}

 

프로그래머스 LV.0과 LV.1에는 대부분 list, str(중간에 띄어쓰기나 '.'으로 나뉘어져있음) 자료형의 변수들이 많이 나온다.

따라서 split() 함수를 알아두면 많은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today.split('.') # ['YYYY', 'MM', 'DD']

 

아마 for 문에서 enumerate을 처음 보는 경우도 있을텐데,

이는 파이썬에서 for문을 돌릴 때 index를 쉽게 알기 위한 방법이다.

enumerate는 (index, value)의 튜플을 만들어주어 아래 코드처럼 사용할 경우 n가 index, i가 privacies의 값으로 주어진다.

 

    for n, i in enumerate(privacies):

 

우선 limit을 계산할 때, 원래는 DD를 하루 빼줘야 하는 것이 맞지만, 우선 같게 계산해두고 후에 같은 날짜일 경우까지도 유효기간이 넘은 것으로 간주했다.

또 MM 같은 경우는 처음에는 12로 나눴을 때의 나머지로만 뒀으나, 합쳐서 12인 경우에는 나머지가 '0'이 되므로 이 경우도 해결해주었다.

마찬가지로 YYYY도 MM를 12로 나눈 몫을 더해주었다가, 12인 경우(더하면 안되는 경우, 아직 달이 넘어가지 않음)에도 년도가 넘어가 '1'을 빼준 값의 몫을 더해주었다.

아무래도 날짜 계산이다보니 위와 같은 세세한 부분들을 체크하는 데 시간을 들였다.

 

이와 같은 불편함을 없애기 위한 방법이 없을까 고민하던 중 아래의 풀이를 발견했다.

아래의 풀이는 날짜를 YYYY.MM.DD 형식이 아닌 year * 28 * 12 + month * 28 + day 형태로 계산해 계산을 훨씬 간편하게 만든 예시이다.

 

다른 풀이 (출처: 프로그래머스)

def to_days(date):
    year, month, day = map(int, date.split("."))
    return year * 28 * 12 + month * 28 + day

def solution(today, terms, privacies):
    months = {v[0]: int(v[2:]) * 28 for v in terms}
    today = to_days(today)
    expire = [
        i + 1 for i, privacy in enumerate(privacies)
        if to_days(privacy[:-2]) + months[privacy[-1]] <= today
    ]
    return expire

 

실행결과

채점을 시작합니다.
정확성 테스트
테스트 1 통과 (0.04ms, 10.3MB)
테스트 2 통과 (0.05ms, 10.4MB)
테스트 3 통과 (0.04ms, 10.4MB)
테스트 4 통과 (0.05ms, 10.4MB)
테스트 5 통과 (0.06ms, 10.4MB)
테스트 6 통과 (0.07ms, 10.5MB)
테스트 7 통과 (0.07ms, 10.3MB)
테스트 8 통과 (0.07ms, 10.4MB)
테스트 9 통과 (0.17ms, 10.5MB)
테스트 10 통과 (0.18ms, 10.3MB)
테스트 11 통과 (0.18ms, 10.4MB)
테스트 12 통과 (0.33ms, 10.4MB)
테스트 13 통과 (0.31ms, 10.5MB)
테스트 14 통과 (0.21ms, 10.3MB)
테스트 15 통과 (0.17ms, 10.4MB)
테스트 16 통과 (0.35ms, 10.5MB)
테스트 17 통과 (0.33ms, 10.3MB)
테스트 18 통과 (0.30ms, 10.4MB)
테스트 19 통과 (0.31ms, 10.4MB)
테스트 20 통과 (0.30ms, 10.4MB)
채점 결과
정확성: 100.0
합계: 100.0 / 100.0
 
728x90